반응형
일본뇌염은 모기(작은 빨간 집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예방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으로 꼽힙니다. 특히 2025년 3월 27일 질병관리청이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하며 백신 접종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 아래에서 접종 대상, 일정, 비용 등을 알아보세요.
예방접종 도우미 사이트
일본뇌염 예방접종 대상
- 국가예방접종 대상:
- 생후 12개월 이상 ~ 만 12세 이하 어린이(2012년생 이후 출생자 기준).
-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으로 무료 접종 가능.
- 권장 접종 대상:
- 일본뇌염 발생 위험 지역(농촌, 축사 주변 등) 거주자.
- 모기 노출이 잦은 성인(특히 50세 미만, 과거 접종 이력 없는 경우).
- 해외 여행자(일본뇌염 유행 국가 방문 시).
예방접종 일정
일본뇌염 백신은 생백신(약독화 생일본뇌염백신)과 불활성화 백신(사백신) 두 가지가 사용됩니다. 접종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생백신 접종 일정 (무료 지원)
- 기초 접종:
- 1차: 생후 12~23개월
- 2차: 1차 접종 후 1개월 뒤
- 3차: 2차 접종 후 11개월 뒤
- 추가 접종:
- 만 6세
- 만 12세
- 특징: 면역력이 오래 유지되며, 접종 횟수가 적음.
2. 불활성화 백신 접종 일정 (유료, 일부 무료)
- 기초 접종:
- 1차: 생후 12~23개월
- 2차: 1차 접종 후 7~28일 뒤
- 3차: 2차 접종 후 1년 뒤
- 추가 접종: 필요 시 의사 상담 후 결정.
- 특징: 알레르기 반응 위험이 낮아 민감한 아이에게 적합.
참고: 생백신과 불활성화 백신은 혼합 접종이 불가하니, 처음 선택한 백신으로 일정 끝까지 진행해야 합니다.
접종 비용
- 무료: 국가예방접종 대상(만 12세 이하) 어린이는 보건소 및 지정 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 가능.
- 유료: 성인 및 국가 지원 대상 외 접종자는 병원마다 다르며, 불활성화 백신 기준 1회 약 3만~5만 원 수준.
접종 장소
- 전국 보건소
- 질병관리청 지정 의료기관(목록은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 소아과, 내과 등 일반 병원
질병관리청 공식홈페이지
접종 전후 주의사항
- 접종 전: 아이가 열이 있거나 아프면 접종 연기.
- 접종 후: 접종 부위 붓기, 발열 등 경미한 부작용 가능(1~2일 내 호전). 증상이 심하면 의사 진찰 필요.
일본뇌염 백신의 중요성
일본뇌염은 감염 시 250명 중 1명꼴로 뇌염 증상을 보이며, 치명률이 20~30%에 달합니다. 특히 어린이와 면역력이 약한 사람이 위험군으로, 백신 접종은 중증 진행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2025년 3월 제주와 전남에서 작은 빨간 집모기가 조기 발견된 만큼, 빠른 접종이 권장됩니다.
질병관리청,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예방수칙과 백신 접종 당부
2025년 3월 27일, 질병관리청은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이는 올해 처음으로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에서 일본뇌염을 매개하는 작은 빨간 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확인된
w1.allwave.kr
반응형
'건강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숙지황의 효능 (0) | 2025.04.04 |
---|---|
신장에 좋은 음식, 건강 지키는 식단 완벽 정리! (0) | 2025.04.03 |
질병관리청, 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예방수칙과 백신 접종 당부 (0) | 2025.04.01 |
연속혈당측정기: 당뇨 관리의 필수 아이템 완벽 (0) | 2025.03.31 |
멜라토닌 많은 음식: 숙면과 회춘을 위한 자연의 선물 (0) | 2025.03.26 |